감정노동 관리 경력 관리 프로 일기 쓰기로 정비하기
직장 생활에서 감정노동은 거의 매일같이 벌어지는 일이다. 고객과의 응대, 상사와의 보고, 팀원과의 협업처럼 사람을 상대하는 모든 순간이 감정의 노동을 수반한다. 하지만 문제는 이런 감정노동이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일을 처리하느라 쏟아부은 감정들은 기록되지 않고, 평가되지도 않는다. 야근, 성과, 업무 실적은 수치로 남지만, 상처받은 감정이나 힘겹게 다독였던 마음은 이력서 어디에도 적을 수 없다. 그래서 감정노동은 쌓이기만 하고, 관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그 누적된 감정의 찌꺼기는 어느 순간 나를 지치게 만들고, ‘이 일이 나와 맞지 않나?’라는 회의감까지 불러온다. 내가 못해서가 아니라, 감정이 소진돼버렸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 감정이 실체 없는 것처럼 취급되기 때문에, 돌보지 않아도 된다는 착..
2025. 6. 25.
퇴사 후 글쓰기로 감정 회복하기
퇴사는 단순히 회사를 그만두는 사건이 아닙니다. 많은 경우, 퇴사는 감정적으로도 인생의 ‘큰 이별’에 가깝습니다. 매일 가던 공간, 매일 만나던 사람들, 익숙한 업무 루틴에서 벗어나야 하는 순간. 이 변화는 두려움, 안도, 후련함, 허탈함, 분노, 슬픔 같은 복잡한 감정들을 한꺼번에 몰고 옵니다. 그때부터 감정이 나를 끌고 다니는 게 아니라, 내가 감정을 바라볼 수 있어야겠다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선택한 방법이 바로 글쓰기였습니다. ‘나를 돌아보는 글쓰기’는 감정의 파도를 수면 위로 올려놓는 작업이었습니다. 흘려보내지 않으면 마음 어딘가에 고여 썩는 감정들을 언어로 꺼내보는 것. 그것만으로도 해소되는 게 많았습니다. 글쓰기를 통해 나는 단순히 퇴사라는 사건을 정리한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얽힌 감정의 층..
2025. 6. 25.
집중력은 책상 위에서 시작된다
책상 위에 물건이 쌓이면서 가장 먼저 느낀 변화는 집중력 저하였다. 원래는 하루 업무를 차분히 해내는 편이었는데, 어느 순간부터는 작은 방해 요소에도 쉽게 산만해졌다. 펜, 메모지, 노트북, 음료수, 충전기 케이블 등 자잘한 물건들이 너무 많아 시각적으로 어지러웠고, 그 안에서 무언가를 찾는 데에도 시간이 많이 들었다. 업무를 시작하려면 책상 위를 정리해야 한다는 생각이 먼저 들었고, 정작 일은 뒤로 밀리기 일쑤였다. 이런 공간의 혼란은 곧 마음의 혼란으로 이어졌다. 쓸데없는 물건들이 눈앞에 가득하니 자연스레 잡념이 많아졌다.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 사이에서 우왕좌왕하며, 집중력이 흐트러지는 순간이 잦아졌다. 특히 반복되는 업무를 처리할 때, 산만한 환경은 심리적인 부담감을 높였고, 결과적으로..
2025.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