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힘든 고객을 마주한 날 쓰는 글쓰기

by rena-space 2025. 6. 18.

 서비스 직군, 상담 업무, 고객 응대 같은 일에서 ‘힘든 고객’을 마주치는 일은 피할 수 없는 일상입니다. 소리를 지르거나 무례하게 굴거나, 지나치게 감정적이거나, 과도한 요구를 하는 고객들을 상대하고 나면 몸도 마음도 탈진해버리기 쉽습니다. 특히 그날의 스트레스가 해소되지 않고 축적되면, 직무 만족도가 떨어지고, 장기적으로는 감정노동으로 인한 번아웃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런 상황에서 감정을 방치하지 않고, 글쓰기를 통해 정리하는 습관이 필요해집니다.

 글쓰기는 그 감정 찌꺼기를 덜어내고 정리하는 가장 현실적인 도구입니다. 힘든 고객을 만난 날, 감정을 외면하지 않고 들여다보는 행위 자체가 자기를 돌보는 시작입니다.

힘든 고객을 마주한 날 쓰는 글쓰기

감정의 물꼬를 트는 첫 문장

 

 글쓰기를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감정을 억지로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솔직하게 흘려보내는 것입니다. ‘힘든 고객’을 마주친 뒤에는 분노, 억울함, 수치심, 무기력감 같은 복합적인 감정이 겹쳐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감정들을 정리하는 첫 단계는, ‘그날의 장면’을 있는 그대로 떠올리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제가 자주 쓰는 첫 문장은 이렇습니다: “오늘 만난 그 사람을 다시 떠올려보면…”. 이 문장은 회피하지 않고 그 장면을 직면하는 힘을 줍니다. 그날 있었던 일, 고객이 했던 말, 나의 반응, 내가 억지로 참은 감정까지 모두 글로 쏟아냅니다. 마치 머릿속 영상 테이프를 되감듯이 천천히 그 상황을 복기하면서, ‘왜 화가 났는지’, ‘무엇이 가장 상처였는지’ 구체적으로 적어봅니다.

중요한 건, 이 과정에서 자신을 비판하지 않는 것입니다. “내가 너무 예민했던 건 아닐까?”, “내가 좀 더 친절했으면 어땠을까?” 같은 질문은 나중에 해도 됩니다. 지금은 감정의 물꼬를 트는 시간이기 때문에, 감정을 걸러내지 않고, 있는 그대로 풀어내는 것이 핵심입니다.

 또한 이 문장은 단순한 회상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감정의 뿌리까지 파고들게 만듭니다. 고객이 했던 말에서 과거의 상처가 떠올랐다면, 그것까지도 글에 포함시킵니다. “그 말이 예전 누구에게 들었던 말과 닮아서 더 아팠다”는 식으로, 감정의 배경까지 적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게 되면, 단순히 고객 한 명의 문제가 아니라, 내 마음 안에 존재하던 감정적 고리들을 하나씩 끊어내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글쓰기 템플릿 감정 해소  의미 해석  자기 돌봄까지


 글쓰기 템플릿은 감정을 해소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스스로를 돌보고 회복하는 구조를 갖고 있어야 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템플릿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나뉩니다.

 

 1단계: 감정 해소

 오늘 만난 사람은 어떤 고객이었는가?

 그 사람이 나에게 어떤 말과 행동을 했는가?

 그때 나는 어떤 감정을 느꼈는가?

 왜 그 감정이 강하게 일어났는가?

 이 단계에서는 최대한 생생하게 적습니다.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고, 억울함이나 화, 수치심, 무력감을 감추지 않습니다.

 

 2단계: 의미 해석

 그 사람의 말이나 행동은 나에게 어떤 의미였는가?

 나의 반응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

 이전에 비슷한 상황에서 어떤 감정을 느꼈는가?

 이번 경험에서 내가 배운 점은 무엇인가?

 이 단계에서는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는 시도가 포함됩니다. 고객의 문제를 나의 책임으로 전가하지 않도록 구분하고, 감정의 원인을 자신과 타인 사이의 상호작용 속에서 분석합니다.

 

 3단계: 자기 돌봄 문장 작성

 지금의 나에게 가장 필요한 말은 무엇인가?

 나를 지지해주는 사람이 있다면, 어떤 말을 해줬을까?

 나 스스로에게 어떤 위로와 격려를 해주고 싶은가?

 이 단계는 글쓰기를 치유의 도구로 전환시키는 핵심입니다. 자신을 비난하는 대신, 그 상황 속에서도 애쓴 자신을 인정하고, “오늘도 잘 버텼어. 충분히 힘들었을 거야.” 같은 따뜻한 말을 스스로에게 건넵니다. 글쓰기의 마지막은 항상 이 문장으로 마무리합니다: “내가 나에게 해주는 말은 이것이다.”

 

퇴근 후 10분 글쓰기, 감정노동자의 방탄복 되다


 이런 템플릿을 사용한 글쓰기를 하루의 끝, 퇴근 직후 10분 동안 실천하는 습관은 감정노동자에게 있어 마치 ‘방탄복’과도 같습니다. 매일은 아니더라도, 감정이 크게 요동친 날에는 반드시 이 시간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의 피로가 쌓이기 전에, 감정의 먼지를 한 번 털어내는 셈이죠.

 10분이라는 시간은 짧지만, 그 안에 집중해서 감정을 쏟아내고, 정리하고, 자신을 위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손으로 직접 쓰는 것을 추천합니다. 키보드로 입력하는 것보다 손글씨는 더 느리고, 그만큼 감정을 따라가면서 쓰게 되기 때문에 몰입도가 높아집니다. 시간이 없다면, 스마트폰 메모 앱이라도 좋습니다. 핵심은 감정을 그냥 흘려보내지 않고, 의식적으로 바라보는 습관을 들이는 것입니다.

 저는 이 습관 덕분에 고객 응대 후에도 감정의 여운을 덜 끌고 가게 되었습니다. 전에 같았으면 집에 돌아와서도 분을 삭이지 못하고 괴로웠을 텐데, 이제는 ‘썼으니 됐다’는 마음이 듭니다. 이 글쓰기는 나를 보호하는 무기가 됩니다. 고객은 내 감정을 책임지지 않지만, 나는 내 감정을 책임질 수 있습니다. 이 글쓰기는 그 책임을 지는 작고 단단한 방법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 이 글쓰기를 통해 ‘나는 혼자가 아니다’라는 감각이 자란다는 것입니다. 글 속에서 나를 지지하고 위로하는 또 다른 ‘나’가 생겨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글쓰기 템플릿은 단순한 감정 정리가 아닌, 내 마음의 방탄복이 되어줍니다.